파워블로거가 되기로 결심하고
글을 쓰기로 시작한지 벌써 7일째!
나도 3일 이상 무엇인가를 할 수 있구나
하는 마음에 뿌듯하다!!
그나저나 왜 또 염화세틸피리디늄을
포스팅 하는지 궁금하실 수도 있겠는데...
원래 이 블로그를 만들기로 결심했을 때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하기로 했었다.
1. 하나의 성분을 여러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2. 소개가 다 끝나면 요약페이지를 만들자!
4일동안 다음의 포스팅에서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살펴보았다(누르면 해당 포스트로 이동)
2017/05/11 - [주요성분] - 가그린과 염화세틸피리디늄 그리고 문과남자-1
2017/05/12 - [주요성분] - 가그린과 염화세틸피리디늄 그리고 문과남자-2
2017/05/13 - [주요성분] - 가그린과 염화세틸피리디늄 그리고 문과남자-3
2017/05/14 - [주요성분] - 가그린과 염화세틸피리디늄 그리고 문과남자-4
그래서 오늘은 4일에 걸쳐 알아보았던 내용을
한꺼번에 요약해 보도록 하겠다. 그럼 복습시간 시작!
[가그린과 염화세틸피리디늄 그리고 문과남자-복습]
1. 세틸피리디늄염화수화물(cetylpyridinium chloride hydrate)은 일부 구강청결제의 주성분이다.
2. 수화물hydrate은 물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3. 염화물chloride은 염소chlorine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4. CPC는 소독제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구강청결제, 치약, 트로키제, 인후스프레이, 소독약, 농약
5. CPC가 함유된 구강청결제는 치아착색을 유발할 수도 있다.
6. CPC의 치사량은 성인기준 1g ~ 3g이며
7. 구강청결제 1회분당 CPC는 대략 0.25mg가 함유되어 있다.
아! 마지막 포스팅에서 치사량을 다루면서
CPC가 양이온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고 언급했는데
잠시 계면활성제가 무엇인지 아주 간략하게 알아보자
계면활성제 surfactant는
친수성 hydrophilic과 소수성 hydrophobic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물질이다. ㅋㅋㅋ
(포스팅 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용어들이 하나같이 다 X랄맞다)
친수성은 물을 좋아하는 성질이고
소수정은 물을 싫어하는 성질이다.
즉, 계면활성제는
한 몸에 물이랑도 섞일 수 있고
기름과도 섞일 수 있는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두가지 성분이 섞일 수 있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문과적 감성으로 설명하면
계면활성제는 대통합을 이루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세척제, 살균제, 에멀션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에멀션화제는 로션(화장품)만들 때 사용하는 물질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계면활성제는 오늘은 여기까지 다루고
나중에 다루게 된다면 좀 더 자세히 다루어 볼 것이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아목시실린에 대해 계속 알아보자!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복습 (2) | 2017.06.11 |
---|---|
친절한 금자씨도 애용한 차아염소산나트륨 그리고 문과남자-복습 (0) | 2017.06.05 |
빨간 토마토 속 라이코펜과 문과남자-복습 (0) | 2017.05.30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복습2 (0) | 2017.05.25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복습1 (2) | 2017.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