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목시실린(Amoxicillin)은 베타-락탐 고리(β-lactam ring)를 가진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β-lactam antibiotics)이다.
하지만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 내성균 중에는
베타-락탐계열 항생제를 무력화하는 물질을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놈들이 있다.
이 물질의 이름은 바로 베타-락타메이스(β-lactamase)이다.
이 물질을 가진 박테리아는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 내 분자구조에 존재하는
베타-락탐고리를 끊어서 이를 무력화시킨다.
그런데 또 이 베타-락타메이스를 무력화시키는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을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혹은 저해제)라고 한다.
영어로는 β-Lactamase inhibitor.
여러가지 물질이 여기에 포함되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이 있다.
클라불란산에는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이 가지고 있는
베타-락탐 고리가 있다.
하지만 이 물질은 그 자체로는
항균작용을 발휘하지 못한다.
*클라불란산 분자구조에 있는 "베타-락탐 고리"
2017/05/19 - [주요성분]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4
* 페니실린과 아목시실린 분자구조 내 "베타-락탐 고리"를 보려면 위 링크를 누르세요
하지만 클라불란산은
아목시실린과 같은 베타-락탐계열과 사용될 경우
항생제 대신 박테리아의 베타-락타메이스와 작용하여
내성균의 전술을 마비시킨다.
그 결과 클라불란산이 가진 베타-락탐 고리는 파괴되지만,
항생물질 속의 베타-락탐 고리는 손상을 받지 않기 때문에
원래의 목적인 항균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원래 오늘 포스팅에서는
시판되는 아목시실린 제제도 살펴보려고 했는데
그건 다음 시간에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5 요약]
1.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가 있다.
2. 이 내성균은 베타-락타메이스라는 물질을 자체적으로 합성한다.
3. 베타-락타메이스는 베타-락탐 고리를 파괴하여 베타-락탐계열 항생물질을 무력화시킨다.
4.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 혹은 저해제는 베타-락타메이스를 무력화시킨다.
5. 클라불란산은 대표적인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이다.
'주요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7 (1) | 2017.05.22 |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6 (0) | 2017.05.21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4 (2) | 2017.05.19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3 (0) | 2017.05.18 |
항생제와 아목시실린 그리고 문과남자-2 (2) | 2017.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