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3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또는 파라세타몰 Paracetamol의
작용기전(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는가)을
아주 아주 간단하고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기전은 속 시원하게 밝혀진 바가 없단다.
읭? ㅋㅋㅋ
체내에서 통증을 전달하는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이란 물질이 있는데
이 물질의 생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라는 효소란다.
*시클로옥시게나아제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사이클로옥시지네이스 라고 쓸 수 도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이
이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OX를
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킨다고
일부 사람들이 간주하고 있을 뿐이란다.
다시 한번 결론을 말하자면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기전은 속 시원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와우!
아세트아미노펜이 개발되기 이전에
아세트아미노펜의 친척뻘인 아세트아닐리드 acetanilide가
해열진통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세트아닐리드는
메트헤모글로빈혈증 methemoglobinemia과
그로 인한 청색증 cyanosis,
심각한 간 및 신장 손상 등의
치명적인 부작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중단되고 보다 안전한 아세트아미노펜이 개발되었다.
삼천포로 빠지는 것 같지만 궁금해서 견딜 수가 없다. ㅋㅋ
간단하게 메트헤모글로빈혈증 과 청색증을 알아봐야겠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
적혈구 내에는 헤모글로빈이 다량으로 들어있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문과남자도 여기까지 배웠던 것은 기억하고 있다.
그런데 혈액 속에는 헤모글로빈뿐 아니라
헤모글로빈의 사촌인 메트헤모글로빈이라는 물질도 있다.
헤모글로빈과 메트헤모글로빈 모두 철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메트헤모글로빈은 조금 다른 성분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메트뭐시기가 적혈구 내에 많아지면
적혈구가 산소를 운반하는 일을 잘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이 메트헤모글로빈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생기는 질환이
바로 메트헤모글로빈혈증 methemoglobinemia
호흡곤란, 두통, 피로, 어지러움, 운동능력 저하, 의식상실, 청색증 등을 유발한다.
메트헤모글로빈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
발작, 혼수상태가 발생할 수 있고
해당 수치가 더 높아지면 사망할 수도 있다.
청색증?
청색증은 혈액이 산소를 제대로 운반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발생 주요 원인으로는 심장질환이나 호흡기질환을 꼽을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도 청색증의 원인이 된다.
산소가 부족한 부분이 시퍼렇게 변해서 청색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청색증이 나타난 손(오른쪽)...
주제에서 벗어났다고 생각되지만,
알게 되어 개운한 기분이랄까? ㅋㅋ
내일은 옆길로 새지 않고ㅎ
아세트아미노펜이 어디에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3 요약]
1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기전은 속 시원히 밝혀진 바 없다.
2 체내 통증 전달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형성에 주요하게 관여하는
시클로옥시게나아제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3 아세트아미노펜이 등장하기 전에 아세트아닐리드가 사용되었지만
심각한 부작용이 있어서 사용이 중단되었다.
4 그 후 아세트아닐리드를 대체할 약물이 개발되었고
그 중 하나가 우리의 주인공인 아세트아미노펜이다.
'주요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카스와 타우린 그리고 문과남자-1 (0) | 2017.06.12 |
---|---|
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4 (0) | 2017.06.09 |
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2 (0) | 2017.06.07 |
타이레놀 속 아세트아미노펜과 문과남자-1 (0) | 2017.06.06 |
친절한 금자씨도 애용한 차아염소산나트륨 그리고 문과남자-4 (0) | 2017.06.04 |